심부전 예후 폐암만큼 나쁜데 … 무관심이 병 키운다

by 양도철 posted Oct 31, 201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심부전(心不全)은 웬만한 암보다 무서운 질환이다. 5년 생존율이 50% 아래다. 예후가 가장 나쁘다는 폐암과 비슷하다. 65세 이상 노인 5~10%가 심부전으로 추정될 정도로 흔하지만 심부전이 무슨 병인지 제대로 아는 사람은 드물다. 전문가들은 고령사회 진입의 문턱에서 

더 중요한 건 심부전에 대한 사회 전반적인 관심이다. 아무리 의술이 발달하고 정부가 심부전 관리 체계를 잘 구축해도 환자가 병원을 찾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 평소 심부전이 어떤 병인지 알고 있어야 의심 증상이 나타났을 때 재빨리 대처한다. 건강한 노인도 안심해선 안 된다. 나이가 들고 근육량이 감소하면 그 자체로 근육덩어리인 심장이 약해져 고혈압·심근경색을 거치지 않고 바로 심부전을 앓을 수 있다. 전은석 교수는 “심부전의 증상은 일반 노화 현상과 헷갈리기 쉬우므로 세심하게 살피는 게 좋다. 예전과 달리 조금만 움직여도 몹시 힘들고, 숨쉬기가 어렵다면 심부전을 의심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전은석 교수는 “고혈압·고지혈증을 다루는 의사는 수치를 정상으로 돌리는 데 집중하고, 혈관을 보는 의사는 막힌 혈관을 뚫는 데 집중한다”며 “고혈압이든, 혈전이든 거기서 끝나는 게 아니라 마지막 단계인 심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하고 장기 치료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분당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최동주 교수는 “70대 노인이 ‘숨이 차다’고 하면 보통은 노환이려니 하는데 이 중 10%는 심부전일 수 있다”며 “같은 의사라도 심부전을 의식하고 환자를 보는 것과 그냥 보는 건 차이가 크다”고 말했다.심부전이 정부의 관심 밖에 있는 건 그만큼 잘 알려지지 않은 측면도 있다. 정부뿐 아니라 일반 국민, 심지어 의사조차 심부전을 제대로 모르는 경우가 많다. 대한심장학회 심부전연구회가 올해 초 펴낸 ‘심부전 진료 지침’은 그래서 의미가 크다. 순환기내과나 심장내과 전문의 정도만 정확히 알고 있는 심부전 치료·관리법을 다른 의사도 알 수 있게 돕는다. 우선 의사마다 다르던 심부전의 정의를 내렸다. 또 질환별·상황별 대응 방법을 정리했다. 지금까지는 고혈압·고지혈증에서 심근경색·협심증을 거쳐 심부전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각 과 전문의는 자신의 질환만 치료하는 경향이 있었다. 진료 지침은 모든 의사가 심혈관질환 전반을 다룰 수 있도록 돕는다.외면받는 심부전 … 건강하다고 안심해선 안 돼우리 정부도 심뇌혈관 질환 관리를 위해 2006년부터 5년 단위로 종합대책을 세워 운영했다. 그러나 여기에 심부전 관련 내용은 없었다. 2006~2010년 제1기 대책에선 고혈압·당뇨병의 인지율·치료율을 개선하는 데 집중했고, 2011~2015년 진행한 제2기 대책에선 심근경색·뇌졸중으로 인한 사망률·후유장애를 최소화하는 데 방점을 찍었다. 올해는 ‘심뇌혈관 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안’이라는 별도의 법안을 마련했다. 다만 세세한 법안 내용은 아직 마련되지 않았다.심부전은 우리보다 더 빨리 고령사회에 진입한 다른 나라에서도 큰 문제다. 이미 북미·유럽 각국은 발 빠르게 심부전에 대비하고 있다. 미국은 만성 심부전이라고 진단받은 노인·장애인·극빈층 환자에게 지난 2010년부터 ‘심장 재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최고 20%에 달하는 심부전 환자의 재입원율을 낮추기 위해서다. 식단 조절과 적절한 운동을 유도해 퇴원 후에도 무리 없이 살 수 있도록 돕는다. 유럽심장학회는 매년 심부전 현황을 발표해 경각심을 일깨운다. 2014년엔 심부전을 중대한 위험 요인으로 여겨 관련 대책을 정리해 42개국 정부에 제안했다. 캐나다에선 정부·시민단체·의료계가 참여하는 위원회를 2009년 구성했다. 심장질환의 예방·관리를 위해 2020년까지 장기 계획을 세웠다. 심부전을 주요 관리 대상으로 지정하고 환자를 25% 줄이기 위해서다.심부전 미리 대비하는 미국·유럽심부전이 미래의 재앙으로 꼽히는 이유는 폐암에 버금가는 높은 사망률 외에도 노인 인구 증가에 따라 환자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대한심장학회에 따르면 국내 심부전 유병률은 2002년 0.75%에서 2013년 1.53%로 두 배가량 높아졌다. 2026년 초고령사회(65세 이상 노인비율이 20% 이상) 진입 후엔 이 비율이 2%를 넘어서고 2040년엔 3.3%까지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인구를 5000만 명으로 계산했을 때 현재 75만 명 수준인 심부전 환자가 165만 명까지 늘어날 거란 계산이다. 실제로는 통계치보다 환자가 훨씬 많다는 주장도 있다.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전은석(대한심장학회 심부전연구회장)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질병 분류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질병 코드 체계를 따른다”며 “심부전의 코드는 ‘I50’인데, 심부전이란 질환이 심근경색(I21·I22), 심장판막질환(I08·I38)과 구분하기 어려워 훨씬 많은 환자가 다른 심장병으로 등록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당장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몇 년 안에 심부전이 사회적으로 커다란 문제가 될 것이라고 경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