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한미연합사 작전차장

by 통준회 posted Apr 20, 201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현광언

천안함 침몰이 북한의 공격에 따른 것으로 확인되고 대북 군사 제재가 결정될 경우 당연히 우리 국군이 단독으로 작전을 실행할 권한을 갖고 있다. 국가의 주권이 국민에게 있듯이, 어느 나라든 그 나라 군대의 작전통제권은 궁극적으로 그 나라의 국군 통수권자에게 있는 것이다. 우리의 경우 대통령이다.

한반도 유사시 전시 작전통제권은 한미연합사령관이 갖고 있다. 전시가 아닌 평시 작전통제권의 경우도 연합 권한위임사항(CODA)의 경우엔 연합사령관에게 위임돼 있다. 이 위임사항 중엔 대북 군사제재가 해당되는 사항이 있다고 해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 군함이 적의 공격으로 침몰하고 그에 대해 우리가 불가피하게 대북 보복조치를 강구해야 할 경우 그 결정권은 우리에게 있는 것이다. 이는 세세하게 법리적으로 따질 차원의 문제가 아니다. CODA 차원을 벗어나는 통치권, 주권 차원의 문제인 것이다.

우리가 독자적으로 대북 군사제재를 결심했을 때 한미연합사령관이 “노(No)”라고 하면 어떻게 하느냐는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또 대북 군사 제재 감행시 전시(戰時)인 ‘데프콘(방어준비태세) 3’ 상태에 들어가 한미연합사령관(미군대장)이 전시 작전통제권을 행사하게 될 것이란 시각도 있다. 그러나 어떤 상황이든 미국은 결코 김정일의 반응을 의식해서 대한민국과 등지는 일은 없을 것이다. 6ㆍ25전쟁 때 이승만 대통령은 미국의 반대를 무릅쓰고 반공포로를 석방했었다. 1953년 정전협정 체결 후에도 그런 예는 몇 차례 있었다. 우리에겐 또 한미연합사의 작전통제를 받지 않는 부대들도 있다.

다만, 우리 단독으로는 확실한 전쟁 억지를 보장할 수 없기 때문에 연합 지휘체제인 한미연합사를 효과적으로 가동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고 필요하다는 것이다. 많은 사람이 한미 연합사의 존재가 우리 군사 주권을 저해하는 요소이고 우리가 대북 보복을 할 때도 반드시 승인을 받지 않으면 안되는 존재로 인식하고 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한미간의 협조 아래 운용되는 긴밀한 군사협력 체제일 뿐이다.




Articles

1 2 3 4 5 6 7 8 9 10